2025년 5월 15일 목요일

제21대 대통령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전투표장소

 제21대 대통령선거(2025년 6월 3일)  서울특별시 강동구 유권자분들을 위한 사전투표소 정보 안내글입니다.  

 

사전투표는 5월 29일(목)~30일(금),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 이틀간 진행됩니다.

 

선거일투표는 6월 3일 (화)오전 6시~오후 8시

 

 



서울특별시 강동구 사전투표장소 

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
[제21대 대통령선거] 사전투표소 현황
[서울특별시][강동구]
2025-05-15 9:13:25
구시군명읍면동명사전투표소명설치장소(건물명)소재지장애인 편의시설임시기표소
설치대상
약도
보기
강동구강일동강일동사전투표소강일동주민센터(3층, 대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93길 9-14 (강일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상일제1동상일제1동사전투표소상일1동주민센터(4층, 대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 633 (상일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상일제2동상일제2동사전투표소상일2동주민센터(5층, 대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98길 71 (상일동)승강기 등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명일제1동명일제1동사전투표소명일1동주민센터(2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634 (명일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-약도
강동구명일제2동명일제2동사전투표소명일2동주민센터(2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암로 260 (명일동)경사로 도움벨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설치대상약도
강동구고덕제1동고덕제1동사전투표소고덕1동주민센터(4층, 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56길 123 (고덕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고덕제2동고덕제2동사전투표소고덕2동주민센터(2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78길 43-12 (고덕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설치대상약도
강동구암사제1동암사제1동사전투표소암사1동자치회관(1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24길 49 (암사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암사제2동암사제2동사전투표소암사2동주민센터(4층, 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암로3길 28 (암사동)승강기 등 도움벨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암사제3동암사제3동사전투표소암사3동주민센터(3층, 회의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137 (암사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천호제1동천호제1동사전투표소천호1동주민센터(2층, 대회의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42길 59 (천호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설치대상약도
강동구천호제2동천호제2동사전투표소천호2동주민센터(2층, 회의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80길 60 (천호동)승강기 등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천호제3동천호제3동사전투표소천호3동주민센터(3층, 회의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진황도로23길 7 (천호동)승강기 등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성내제1동성내제1동사전투표소성내1동주민센터(3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로 13 (성내동)승강기 등 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성내제2동성내제2동사전투표소성내2동주민센터(3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풍성로37가길 62 (성내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설치대상약도
강동구성내제3동성내제3동사전투표소성내3동주민센터(2층, 제1강의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대로53길 76 (성내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설치대상약도
강동구길동길동사전투표소길동주민센터(4층, 대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183 (길동)승강기 등 경사로 점자유도블럭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둔촌제1동둔촌제1동사전투표소둔촌제1동주민센터(4층, 대강당)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84길 31 (둔촌동)승강기 등 장애인화장실-약도
강동구둔촌제2동둔촌제2동사전투표소둔촌2동주민센터(2층, 다목적실)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86길 7 (둔촌동)경사로 점자유도블럭설치대상약도

사전투표 준비 참고사항

  • 사전투표소는 주소와 무관하게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합니다.

 

  • 반드시 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을 지참해야 하며, 모바일 신분증은 앱 원본만 인정되고 스크린샷은 무효입니다.
    • 주민등록증​
    • 운전면허증​
    • 여권​
    • 사진이 부착된 학생증 또는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신분증​
    • 모바일 신분증 (캡처 화면은 인정되지 않습니다)​
    스마트폰의 신분증 앱도 사용 가능하지만, 실물 신분증을 지참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
 

  • 투표는 관내 유권자와 관외 유권자로 나뉘며 절차가 다르므로 안내문을 꼭 확인하세요.
  • 투표 전 행정복지센터 위치나 층수엘리베이터 유무 등도 확인하면 편리합니다.
 

사전투표 주의사항

  • 최근 일부 지역에서 몰래카메라 설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, 투표소 내에서 수상한 물건이 보이면 즉시 신고해주세요.
  • 투표용지 촬영 및 SNS 업로드는 불법입니다. 인증샷은 투표소 밖에서만!

🔗 투표소 찾기 서비스 바로가기 (중앙선관위 공식)

  • 주소 입력 또는 생년월일 등 간단한 정보로 내 투표소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. 주소지와 다른 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나요?
A. 네,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합니다.

Q2. 사진 없는 학생증으로 투표 가능한가요?
A. 아니요, 반드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이어야 합니다.

Q3. 사전투표 후 선거 당일에 다시 투표 가능한가요?
A. 불가능합니다. 1인 1회 투표만 허용됩니다.

Q4. 가족이 대신 투표할 수 있나요?
A. 절대 안 됩니다. 대리투표는 형사처벌 대상입니다.

👉 여러분의 한 표가 세상을 바꿉니다. 소중한 권리를 꼭 행사하세요!